
프로젝트 개요
일상 속 스트레스와 고민을 가진 사용자들을 위한 모바일 기반 LLM AI 상담 서비스입니다. 귀여운 고양이 캐릭터와의 대화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동기면담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자기 인식과 변화를 돕습니다.
목표 및 역할
정신 건강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특히 MZ 세대가 부담 없이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귀여운 고양이 캐릭터를 통해 상담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추고,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목표로 했습니다.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UX를 통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심리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2인으로 구성된 팀 프로젝트로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프로젝트 UI에 기여하고, LLM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였습니다.
사용 기술
- React Native
iOS 및 Android 크로스 플랫폼 앱 개발
- Firebase
사용자 인증, 데이터베이스, Cloud 함수 활용
- FireStore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및 저장
- OpenAI API
RAG 기반 상담 기능 구현
성과 및 결과

앱 사용자 통계
MAU 8천명 이상의 유저가 앱을 사용하고 있으며 평균 사용자 평점 4.5/5.0을 기록했습니다. 안드로이드 기준 1만 다운로드를 달성했습니다.
주요 기능
고양이 캐릭터와의 대화형 상담 인터페이스
일기 기록을 통한 상담 기능 향상
아키텍처
기술적 도전과 해결 방법
사용자 경험 최적화
이슈 발생
모바일 LLM 상담 서비스 '상담냥'을 개발하며, 미국 유저를 대상으로 한 UI/UX 설계가 문제로 드러남. 기존 채팅형식 UI가 미국 유저에게 비직관적이었고, 이로 인해 앱 실행 후 이탈률이 80%에 달하며, 대화 진행 비율이 10%를 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함.
경과
미국 유저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벤치마킹을 진행한 결과, 버튼 클릭형 UI나 음성 대화 방식이 더 익숙하다는 점을 확인함. 이에 따라, 기존 채팅형 UI를 유지하되, 미국 등 지표가 저조한 지역에는 버튼 클릭형 UI를 도입하는 UI 차별화 전략을 수립함.
해결
UI 변경 후, 미국 유저의 대화 진행 비율이 80%로 증가하고, 이탈률이 30% 감소하며, 세션 지속 시간이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사용자 경험이 크게 향상됨. 이를 통해 UX 설계 시 문화적 차이와 사용 습관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음.
프로젝트 갤러리

고양이 상담사와의 대화 화면

일기 기록 화면

일기 작성 화면